-
-
녹용
녹용
특히 녹용은 어른들보다 아이들에게 더 좋은 효과를 나타내는데 발육상태가 저조하고 감기에 자주 걸리는 어린이에게 녹용을 복용시키면 식욕이 증진되고 성장과 발육이 왕성해지면서 잔병치레를 현저히 저하시킬 수 있다.
- 조혈 기능
빈혈은 혈액검사에서 적혈구의 수 및 혈색소량이 정상보다 아주 적은 경우를 말하며 빈혈의 증상은 우선 외관상 안색이 나쁘며 두통, 현기증, 이명이 있거나 숨이 차기도 한다.
빈혈증상을 한의학적인 진단용어로 혈허한 증상과 유사하며 혈이 허하다는 것은 혈액의 순환능력 혈액의 생성에 이상이 온 것으로 앞의 증상 이외에 불면증, 건망증, 손발저림, 수족냉증처럼 혈액순환이 안되는 경우 여성의 생리불순 등도 빈혈에서 나타나며, 이러한 빈혈증상을 호전하는데 녹용은 조혈장기인 골수내의 조혈기능을 왕성하게 하므로 빈혈 호전제로서 좋은 효과가 있어 한의학에서 귀중하게 응용되고 있다.
- 생식호르몬 보강기능
한의학에서는 성호르몬이 부족하여 발생하는 발기불능, 조루증에 쓰이는 녹용은 심장의 수축력과 심박출량을 증가시켜 저혈압 등으로 인한 만성적인 혈액순환장애를 개선시키므로 양위나 양기부족 등 각종 성기능 장애증상에 신정을 보강하는 약물과 병용하여 많은 효과를 나타낸다고 하였으며, 유정이나 조루의 증상도 소실된다고 하였고 임신의 유지와 자궁을 보강하는 힘도 녹용에 있다고 하였으며, 소아에게는 발육과 성장력을 촉진시키므로 체력증강에 필수적이며 소아의 성장발육이 지연되거나 골성장이 늦어 머리의 대천문(숨구멍)이 늦게 닫히는 경우도 골수를 보강하는 처방에 녹용을 가미하여 호전가 가능하다.
- 관절과 골격에 관한 효능
한의학적으로는 뼈와 골수는 신장이 주관한다. 녹용이 효과를 나타내는 질환으로 대표적인 것이 퇴행성 관절통과 골다공증을 들 수 있다, 갱년기 및 폐경기 이후의 여성에게 많은 골다공증과 노년기의 골다공증과 퇴행성 골관절의 변화는 신장의 정을 보강하는 각종 호르몬과 무기물을 함유하고 있고 단기간에 왕성한 성장을 하는 녹용의 특성상 임상적으로 골다공증과 퇴생성 관절통에 녹각과 함께 많은 효과를 거두고 있다.
- 척추질환에 대한 효능
앞에서 언급한 관절계통에 대한 호전와 더불어 녹용이 특효를 나타내는 부분이 바로 요추와 경추 등 척추질환이며 요통이외에 신장이 허약하여 발생하는 소변빈삭, 구갈, 양기부족, 낭습 등에 신정을 보강하는 처방에 녹용을 가미하여 많이 사용하며 녹용이 등줄기를 흐르는 기가 왕성하므로 허리 경추질환과 디스크수술 후유증이나 재발방지 목적으로 하는 처방에 많이 가미되고 있다.
- 면역계통에 관한 영향
인체의 면역기능을 담당하는 세포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녹용은 그 중 외부에서 침입한 항원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대식세포의 양적 증가를 가져와서 결국 면역능력을 증가 시킨다는 실험적 보고가 있다. 그러나 실험을 통한 검증을 거치지 않더라도 소아 및 성인의 감기 예방에 탁월한 효능을 거두고 있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 체질별 효능
체질의학을 처음으로 주장한 (동의수세의보)의 저자 이제마 선생은 녹용을 태음인의 약으로 규정하였다.
태음인은 간의 기능은 왕성하나 폐의 기능은 부족하다는 것으로 이러한 체질의 보약에는 녹용이 효과적이라는 설명이다. 소음인의 경우는 태음인과 같이 음인에 속하기 때문에 증상에 따라 적절히 쓸 수 있으나 소양인처럼 인체의 상부 즉 폐와 심장에 열이 몰려있는 경우에는 녹용의 처방과 복용에 신중을 기해야하고 두통이나 불면증, 시력감퇴의 부작용을 막기 위해서는 반드시 진찰을 거쳐야 한다.
이상과 같이 녹용은 임상에서 소아과의 경우 감기나 각종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면역증강요법 외에 성장촉진을 목적으로 쓰이고 부인과에서는 월경장애나 빈혈증사의 개선과 신경통, 산전산후의 허약증의 호전에 쓰이며, 노년기에 주로 발생하는 골절관통 퇴행성 관절통, 골다공증에 주로 쓰이는데 이때는 진찰을 통하여 녹용의 상대, 중대, 하대중 어느 부분을 사용할 것인가를 결정해서 복용하면 효과적이라 하겠다.